국제무역 | [ 국제무역 ] 中 기업부채 비상 => 韓 대중 수출에 영향 미치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판수 작성일21-05-26 17:08 조회1,77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중국 경제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기업부채로 인해 성장이 둔화하면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3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중국 기업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의 기업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60%를 상회하는 등 주요국 및 신흥국 대비 높은 수준이다.
2016년 이후 정부 구조조정 정책에 따라 기업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가 코로나19 충격으로 다시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방역성공으로 경기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자 중국 당국은 추가 경기부양책을 지양하고 기업 재무건전성 개선 등 구조조정 노력을 재개하고 있다.
중국 기업부채의 주요 특징으로는 먼저 은행에서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이 대부분인 점을 들 수 있다.
또 중국 정부의 암묵적 보증이 기대되는 국유기업의 부채 규모가 민간기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미·중 갈등, 코로나에 따른 경기 약화로 당국의 대출 지원이 늘면서 민간기업 및 소기업 부채도 급증했다.
중국에서 대부분의 기업부채는 자국 통화인 위안화 부채며 외화부채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한은은 밝혔다.
기업부채의 잠재 리스크 요인을 살펴보면 일부 부동산 기업의 유동성 위험이 향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기업이 여타 부문보다 부채 수준이 높은 반면 수익성이 낮아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규제가 강화됐기 때문이다.
또 지방정부융자기구 부채가 지방경제 개발 및 활성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 서남부지역 등 재정기반이 취약한 지방을 중심으로 신용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성장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
코로나19 이후 당국의 유동성 지원으로 부채가 늘어나고 한계기업 정리가 지연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정부주도 구조조정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기업부실이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시스템에 전이될 위험도 일부 존재한다.
주요 기관들은 중국 정부의 재정 여력 및 금융시스템 통제 능력 등에 비추어 볼 때 기업부채 문제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다만 "기업의 과잉투자가 조정되는 과정에서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중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할 경우 중간재 비중이 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중장기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CBS 노컷뉴스
한국은행은 23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중국 기업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의 기업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60%를 상회하는 등 주요국 및 신흥국 대비 높은 수준이다.
2016년 이후 정부 구조조정 정책에 따라 기업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가 코로나19 충격으로 다시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방역성공으로 경기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자 중국 당국은 추가 경기부양책을 지양하고 기업 재무건전성 개선 등 구조조정 노력을 재개하고 있다.
중국 기업부채의 주요 특징으로는 먼저 은행에서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이 대부분인 점을 들 수 있다.
또 중국 정부의 암묵적 보증이 기대되는 국유기업의 부채 규모가 민간기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미·중 갈등, 코로나에 따른 경기 약화로 당국의 대출 지원이 늘면서 민간기업 및 소기업 부채도 급증했다.
중국에서 대부분의 기업부채는 자국 통화인 위안화 부채며 외화부채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한은은 밝혔다.
기업부채의 잠재 리스크 요인을 살펴보면 일부 부동산 기업의 유동성 위험이 향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기업이 여타 부문보다 부채 수준이 높은 반면 수익성이 낮아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규제가 강화됐기 때문이다.
또 지방정부융자기구 부채가 지방경제 개발 및 활성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 서남부지역 등 재정기반이 취약한 지방을 중심으로 신용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성장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
코로나19 이후 당국의 유동성 지원으로 부채가 늘어나고 한계기업 정리가 지연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정부주도 구조조정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기업부실이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시스템에 전이될 위험도 일부 존재한다.
주요 기관들은 중국 정부의 재정 여력 및 금융시스템 통제 능력 등에 비추어 볼 때 기업부채 문제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다만 "기업의 과잉투자가 조정되는 과정에서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중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할 경우 중간재 비중이 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중장기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CBS 노컷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