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 [ ] 트럼프 =>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판수 작성일25-04-03 13:37 조회8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전격 발표
‘최악 국가’ 25개국은 국가별 관세…한국 25%
중국 34%, EU 20%,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
기본관세는 5일부터,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부과
트럼프, 한국 콕집어 “한국 수입차 81% 한국서 만들어”
관세전쟁 글로벌 전면전 확대…국가 리더십 부재 한국 비상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런 내용의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 10%(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런 내용의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 10%(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다.
한국에 더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에는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다.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를 향해 “미국 제품에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산업을 파괴하기 위해 터무니 없는 비금전적 장벽을 만들었다”라면서 “미국 납세자들은 50년 이상 갈취를 당해왔으나 더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드디어 우리는 미국을 앞에 둘 것”이라면서 “이것이야 말로 미국의 황금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겨냥해 “한국 수입차 81%가 한국에서 생산된다”고 언급했다.
전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이 일부 국가와 품목을 넘어 모든 수입품에 대해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키로 함에 따라 ‘트럼프 관세발(發) 관세 전쟁’이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되게 됐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겨냥해 “한국 수입차 81%가 한국에서 생산된다”고 언급했다.
전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이 일부 국가와 품목을 넘어 모든 수입품에 대해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키로 함에 따라 ‘트럼프 관세발(發) 관세 전쟁’이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되게 됐다.
EU를 비롯해 주요 국가들이 보복 조치 방침을 밝히면서 그동안 미국이 주도해온 자유무역 기반의 국제 통상 질서도 급격하게 변화할 전망이다.
한국이 국가적 리더십 공백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의 대응에 비상이 걸리게 됐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도보다 10.4%가 증가한 1278억달러다. 지난해 한국의 대(對)미국 무역 수지는 557억달러 흑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이 국가적 리더십 공백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의 대응에 비상이 걸리게 됐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도보다 10.4%가 증가한 1278억달러다. 지난해 한국의 대(對)미국 무역 수지는 557억달러 흑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수출입 전문위원 관세사 서 판 수 (출처 : 헤럴드경제)